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55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as Educational Practitioners for Activating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 Focusing on local public art project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현주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211~25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단기적인 사업 추진, 거시적 관점의 결여, 학습자 및 지역 주민이 배제된 상위 기관의 일방적인 정책 등으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은 좀처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미술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의지와 실천이 중요하다고 보고, 교사의 실천이 가능한 여러 가지 맥락을 고려하여 지역 공공 미술 프로젝트를 매개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활동을 추진하였고 각 활동을 사례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을 실천적 예술가로 바라보고 학습자 주도적인 지역사회 연계 프로젝트 수업을 활성화한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에 기반한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알리고 목적을 공유한다. 셋째, 학교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지역사회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본 연구자는 학교-지역사회 연계 활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통되거나 다른 목표를 두고 협력적 관계 구축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필자의 경험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 활동을 실천하려는 교사가 일상적으로 맞닥뜨릴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몰입-도전’이라는 순환 과정으로 성찰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정규 미술 교육과정 안에서 보편적인 미술교육으로 정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eeking practical and effective measures to activate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revealed that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has not been effectively activated due to short-term project implementation, a lack of macro perspective, and unilateral policies from higher institutions that exclude learners and local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posits that the will and practice of teachers who implement art curricula are crucial for the activation of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It promotes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rough local public art projects, considering various contexts in which teachers can practice. Each activity was selected as a case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view students as practical artists and activate learner-led community-linked project classes. Second,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and share objective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utside of school based on teacher autonomy. Third, build a collaborative network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ecosystem. The researcher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common or differing goals during the process of promoting school-community linkage activities. This experience is seen as a challenge that teachers attempting community-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may regularly encounter, and it is reflected upon as a cyclical process of ‘experience-immersion-challenge’ for educators. By closely examin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s practitioners, and applying them in school settings, it is expected that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will become a universal form of art education within the formal art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미술교육을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활동 사례 분석
Ⅴ. 논의: 교사의 경험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현주. (2025).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211-253

MLA

장현주.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211-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