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온/오프라인 교수법 병행 방안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Research on the online/offline teaching strategy of creative studio practice in ink wash pain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장순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189~2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이 수묵화 실기 교육에 보다 쉽고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실습과 온라인 소통을 병행하는 수업 전략을 수립하고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수묵화의 재료와 도구의 사용법을 설명한 후, 교수자의 채본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 기법을 개별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라인 수업에서는 자신의 실습 결과물을 스스로 종합·정리하고 수업 소감을 온라인 플랫폼에 게재함으로서 학습 성과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게 하였고, 교수자는 이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접근이 어려울 수 있는 수묵화 실기 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고, 교수자와 더욱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전통 수묵화를 어렵지 않게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었고, 교수자와 학습 성과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 학생들이 수묵화 실기교육에 더욱 몰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전략과 환경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for college students living in contemporary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studio practice of ink wash painting in more comfortable way, I designed a teaching strategy and curriculum that combines offline practice and online communication, and analyzed class experiences. In the offline class, after explaining how to use the materials and tools of ink wash painting, I asked students to individually experienc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based on the instructor's sample. In the online class, students were able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outcomes by organizing their works and posting what they think about the experiences on an online platform, and the instructor provided feedback. Through the class, students wer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actice of ink wash painting, which may be difficult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instructor in pers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and learn traditional ink wash painting, sharing their achievements with the instructor, and become more into the studio practice of ink wash painting.
목차
Ⅰ. 연구 동기와 목적
II. 온/오프라인 수묵화 실기교육의 필요성
III. 온/오프라인 수묵화 교육 방법론
IV. 온/오프라인 수묵화 교육의 사례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시각적 듀오에스노그래피
-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 시각적 감성과 인공지능,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온/오프라인 교수법 병행 방안 연구
-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 중등 미술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인공지능 기반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