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02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iddle School Art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연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255~29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드러난 전통미술교육을 분석한 후, 앞으로 전통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미술교육은 미술교육계 안에서 많은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지지만, 아직 지도상으로 미흡한 부분이 많으며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먼저 전통이 강조되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전통미술교육의 흐름을 살펴본 후 현재 미술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전통미술교육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면서 학생들이 전통미술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 파악해 볼 것이다. 나아가 전통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세 가지 방향으로 ‘주변환경을 체험하기 위한 최적의 전통미술 재료 및 방법의 탐색, 전통 재료의 속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 ‘전통 사상 및 미학과 연계한 전통미술교육’, ‘한국적 소재와 미감을 개인적 정체성 및 사회적 보편성과 연결’ 을 제안하고 관련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reveal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still one of the areas where many studies and attempts are made within the art education community, but there are still many inadequacies in terms of guidance and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teach.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from the 1970s when tradition began to be emphasized, and then analyzes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current art curriculum based on text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xplores what could be improved in textbook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ree directions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exploration of optimal 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methods to experien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depth exploration of the properties of traditional materials’, ‘traditional art education linked to traditional ideas and aesthetics’, and ‘connecting Korean materials and aesthetics with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universalit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program examples related to traditional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에 따른 전통미술교육의 변천
Ⅲ.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의 전통미술교육
Ⅳ.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시각적 듀오에스노그래피
-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 시각적 감성과 인공지능,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온/오프라인 교수법 병행 방안 연구
-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 중등 미술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인공지능 기반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