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이용수  19

영문명
The journey of a toy called slime to become an art materia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정 이재예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25~6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 활동에서 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최근에는 재료와 어떻게 상호 작용할 것인가에 대한 미적 체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재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의미하며 외부 세계와 교감하는 감각 교육의 장을 확장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역동적 신체 사용과 다양한 정서적 체험을 유도하는 슬라임을 새로운 미술 재료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과정을 탐구하였다. 파일럿 연구를 포함해 총 세 번의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생생한 언어와 몸짓, 활동 과정물을 기록하였고 최종적으로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을 고찰함으로써 재료의 물성에 주목한 미적 체험 활동이 미술 교육학적으로 어떤 시사점을 갖는지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비뉴턴 유체인 슬라임을 다룰 때 적극적으로 신체를 사용하였으며 감각의 통합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미적 경험의 소통을 체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미술 교과 및 재료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가지게 되었으며 퍼포먼스 미술 활동을 통해 아동 스스로 자유 연출을 제작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슬라임의 미술 재료로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미술 교과에서 새로운 재료를 탐구하고 확장하는 과정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Materials occupy a large proportion of art activities, and recently, aesthetic experience research on how to interact with material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means a change in perception of materials and will expand the field of sensory educ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world.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using slime as a new art material, which induces dynamic body use and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 total of three pract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a pilot study, and in the process, learners' vivid language, gestures, and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finally, by examining the journey that the play of slime becomes an art material, the implication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y focusing on the materiality of the material in art educ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actively used their bodies when dealing with slime, a non-Newtonian fluid, and actively experienced communication of aesthetic experiences by using the integration of senses. In addition, students had new ideas about art subjects and materials, and they were able to grasp the fact that children produced free production by themselves through performance art activities.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ble to explore the potential of slime as an art material and discovered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expanding new materials in art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재료의 물성에 주목한 미적 체험 교수·학습 수립 과정과 연구 성찰
Ⅳ. 슬라임 교수·학습의 실제 및 교육학적 의미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이재예. (2025).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미술교육연구논총, (), 25-62

MLA

김미정,이재예.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2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