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이용수  47

영문명
Art Education Directions and Challenges as Viewed Through Interviews with Community Child Center Staff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손유림 이지윤 조호연 이재예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119~15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방과 후 돌봄 및 교육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복지 기관으로 전국 단위로 확산하며 양적인 팽창을 거듭해왔다. 그동안 지역아동센터에서 다양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왔지만, 프로그램 기획 과정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내부자의 시선에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어떤 과정으로 기획·운영되는지 알아보고,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근무자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시행한 후, 귀납적 주제 분석 및 축 코딩을 활용하여 미술교육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 종사자가 바라는 미술교육의 목표, 내용, 구성 방식, 그리고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향 등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은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분반 수업, 진로 연계 수업 등을 선호하였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산 및 행정 인력 지원, 유관기관 연계 강화, 종사자 교육 등 다방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 투자는 미술교육에 대한 학습자, 학부모, 종사자의 인식을 개선하여 모든 계층의 아동이 양질의 미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할 것이다.

영문 초록

Community Child Centers (CCCs) are welfare institutions that aim to foster the holistic growth of children by providing integrated after-school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These centers have expanded significantly nationwide, experiencing substantial quantitative growth. Although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CCC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alyzing the planning and operational challenges of these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stakeholders.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s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rt education programs are planned and operated, based on interviews with CCC staff, and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art educ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CCC staff members in metropolitan areas.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and axial coding, the study identified staff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desired goals, content, organiz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support to promote art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CCC staff preferred tailored classses that reflect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grouping by skill level, and career-linked programs. To realize these preference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policy support, including funding, administrative personnel, strengthened collabo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staff training. Investments in and support for art education in CCCs can improve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among learners, parents, and staff, fostering a cooperative network that ensures all children, regardless of background, receive high-quality ar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지역아동센터 미술교육의 운영 특성 분석 결과
Ⅴ. 지역아동센터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미래 과제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유림,이지윤,조호연,이재예. (2025).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미술교육연구논총, (), 119-153

MLA

손유림,이지윤,조호연,이재예.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119-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