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시각적 듀오에스노그래피
이용수 10
- 영문명
- Visual Duoethnography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하영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87~1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인 윤소민 학생 사이에서 실시한 듀오에스노그래피 연구이다. 연구자와 윤소민 학생은 11주 동안 교사와 학생으로서 살아가는 삶과 생각, 감정에 대하여 비주얼 저널을 작성하고, 이를 공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분석한 결과 연구자와 윤소민 학생은 비주얼 저널 교류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를 재구성하였으며, 서로의 내러티브가 얽히고 연결되는 과정에서 변화와 성장이 일어났다. 또한, 비주얼 저널을 통해 자기 성찰과 표현이 이루어졌다. 이에 이 연구는 양적 연구에 비중이 컸던 기존의 교사-학생의 삶과 관계, 성장의 논의에 새로운 관점과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a duoethnographic approach to explore the live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omin Yoon (pseudonym), a sixth-grade student. Over 11 weeks, the researcher and Somin documented their thoughts, emotions, and experiences as a teacher and a student through visual journals. These journals were shared, analyzed, and used as primary data for this stud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change of visual journals facilitated a reconfiguration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stering mutual transformation and growth as their narratives intertwined and connected. Moreover,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haring visual journals enabled self-reflection and self-expression. This study provides a novel perspective and valuable insights into the live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of teachers and students, enriching a field traditionally dominated by quantitative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Ⅳ. 비주얼 저널을 통한 성찰적 대화
Ⅵ. 나가며: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시각적 듀오에스노그래피
-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 시각적 감성과 인공지능,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온/오프라인 교수법 병행 방안 연구
-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 중등 미술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인공지능 기반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