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Critical Analysis on ‘Identity Competency’ i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희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295~33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정체성 역량’의 모습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체성 역량과 관련된 핵심 아이디어, 내용 요소,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을 분석하여, 정체성 역량의 특징을 ‘제시된 것’과 ‘부재한 것’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보여주고 있는 정체성 역량의 특징은 1) 성찰 대상의 모호함-자기 자신을 성찰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대상의 특징과 자신이 대상을 지각하고 반응하는 방식을 성찰의 대상으로 함 2) 미술의 도구적 가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제함 3) 메타인지 활성화의 필요성 4) 작품 제작 과정에서 공동 행위 주체성(co-agency)이라는 관점에서 자기주도성의 발현이 필요함 5) 자기 자신도 모르게 끌리는 것을 탐색함으로, ‘애매모호한 나’의 존재론적 가능성이 대두됨 6) 자신의 감상 관점 존중 7) 서사적 정체성 적용의 필요성과 가능성의 7가지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체성 역량 을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ne of the curricular competencies in the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Identity Competenc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think and act independently through art and to understand oneself in relation to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highlight the whole aspects of Identity Competency a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related to Identity Competency,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Competency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is evident and what is abs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seven key characteristics of Identity Competency a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1) Ambiguity in the object of reflection, more focusing on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less on perceiving how to respond to the object and much less on how to reflect oneself, 2) Lack of valuing the instrumental value of art. 3) Activating meta-cognition into art lesson. 4) The bimportance of self-directedness in the process of art-making in terms of the the co-agency 5) Providing space for being unconsciously drawn to something 6) Respecting one’s own perspective on art appreciation. 7) The necessity and potential for applying narrative identity. Finally,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implementing Identity Competency in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론: 정체성 역량에 대한 문제 제기
II. 정체성 역량에 대한 검토
III.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정체성 역량 분석
IV.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정체성 역량 분석 결과 및 논의
V. 결론: 정체성 역량 실행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시각적 듀오에스노그래피
- 슬라임이라는 놀잇감이 미술 재료가 되는 여정
- 시각적 감성과 인공지능,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 방향성 및 과제
- 수묵화 창작 실기교육의 온/오프라인 교수법 병행 방안 연구
-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 중등 미술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인공지능 기반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험 연구 :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