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이용수  4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해경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0집, 63~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 분야에 디지털 기술 활용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미술과에서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평가와 관련한 선행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미술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적응형 온라인 형성 평가 시스템', 미국의 유아 평가 시스템인 'TS Gold', 미국 캘리포니아 교육청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Canvas LMS'를 연구한 자료를 참고하였다. 세 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미술과 평가를 개발하기 위해 고려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지식·이해에 한하여 학습 콘텐츠, 평가와 연계하여 개발될 수 있다. 둘째, 미술과에서 학습 처방이나 경로를 제시할 때는 방사형 구조를 적용한다. 셋째, 평가 자료 수집 및 관리 프로그램, 글, 사진, 영상 등 질적 평가 자료의 평가 공정성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율 기록 프로그램 등 미술과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평가 보조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과 평가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성취기준 단계별로 시각적, 언어적 지표와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the scope of digital technology use in education has been expanding,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in the arts is limited. In particular, prior studies related to evaluation in art are even harder to fi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developing evaluation tools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arts. To do this, we analyzed three cases: the "Adaptive Online Formative Assessment System" from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TS Gold" assessment system for young children in the U.S., and the "Canvas LMS" used by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U.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three cases, the following points were proposed for developing art evaluation in a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First, it is possible to link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learning contents, and evaluation. Second, in art education, a radial structure is applied when suggesting learning prescriptions or pathways. Third, digital assessment tool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such as programs for collecting and managing assessment data, programs for ensuring fairness in evaluating photos and videos, and programs for tracking participation through video, need to be developed. Fourth,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art evaluation, visual and verbal indicators and examples can be presented for each achievement standard.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시대의 교육
Ⅲ. 디지털 기반 교육 시스템 사례
Ⅳ. 디지털 기반 교육 시스템 내에서 미술과 평가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해경. (2025).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 63-85

MLA

김해경. "디지털 교육환경에서의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6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