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Conflict Resolution Support for Children in the Heart Class: Based on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곽미경 곽승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75~21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하여 유아 또래 간 갈등이 보다 주체적으로 해결되도록 지원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갈등해결 양상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마음반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스토리텔링 수업을 진행하면서 유아 갈등해결 지원,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유아 갈등해결 지원의 실행은 ‘대집단 스토리텔링 수업에 기초한 갈등해결 시도’, ‘소집단 체험식 교수접근으로의 전환’, ‘갈등해결의 실천력 향상을 위한 정서활동 강화-통합적 접근의 개별 활동 지원’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의 변화는 자기중심적 사고와 행동에서 타인에 대한 감정 이해 및 공감 확대, 새롭고 긍정적인 갈등 해결방법 창안, 형식적이고 일방적인 사과에서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사과표현으로의 변화, 부정적 정서조절을 위한 유아들의 다양하고 자발적인 노력의 증가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hild conflict resolution support using storytelling classes to help children solve conflicts on their own, and to find out what changes the children conflict resolution patterns have made in everyday life linked to the storytelling classes. To this end, researchers and teachers conducted a total of 12 weeks of child conflict resolution support,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fifteen 5-year-old children (nine boys and six girls) in kindergarten. The child conflict resolution support process using the storytelling cla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actice and reflection: attempt to resolve conflicts using large group storytelling classes. Second practice and reflection: transition to small group discussion and role play activities. Third practice and reflection: strengthening personal experience activities to help practice in everyday life search for conflict resolution support through promotion of individual activities with an integrated approach. Next, the changes in conflict resolution pattern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elf-centered thinking and behavior of childre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others were expanded. Second, the creation of a new and positive solution: conflict resolution using humor was achieved. Third, it changed from a superficial apology to an apology that understood the other person's mind. Fourth, the efforts of children toward emotional control from negative emotional outbursts increa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구성 및 유아 반응
-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 체험적 인권교육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한국 번역판 변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 분석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 그림책의 이중독자 문제와 고유명사: Claude Ponti의 Georges Lebanc을 중심으로
-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