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이용수 12
- 영문명
- Parent's Perception Towards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torytelling Math Education and Current Status of Home Mathematic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희 한종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283~31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기 수학교육 및 유·초연계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도 W시 어린이집 만 3, 4, 5세 유아의 학부모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많은 학부모가 유아수학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기 수학교육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일상생활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길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해서는 스토리텔링 수학에 대해 들어 본 적은 있지만 내용 및 적용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부모가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고 가정수학교육 실시현황은 유아수학교육을 실시한다와 실시하지 않는다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스토리텔링 수학을 고려한 수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가정이 많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을 가정에서 부모가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힌 인식과 비교할 때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connecte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lementary school are emphasized, and interest in storytelling mathematics applied 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s increasing.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s education at hom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97 parent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in day care center of W city. The result showed that many parents believe that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at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to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in everyday life. In terms of storytelling, it was found that parents do not know about the content and application method although they have heard about storytelling mathematics for mathematics education. Most parents think that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is helpful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As for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s education at home, each ratio of doing mathematics education and not doing it has almost same value. Considering both the perception that it is most desirable for parents to conduct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at their home and the result that mathematics education with storytelling mathematics is not conducted at many home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the conducting of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구성 및 유아 반응
-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 체험적 인권교육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한국 번역판 변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 분석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 그림책의 이중독자 문제와 고유명사: Claude Ponti의 Georges Lebanc을 중심으로
-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