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rundtvig Education Thought : Focusing on the 'living word'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주 김정미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53~17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 주도의 근대적, 계몽주의적 공교육을 비판하고, 학생, 교사, 학부모 간의 ‘살아 숨 쉬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자유로운 삶 자체를 어린이 교육의 기초로 삼아야 함을 주장한 덴마크 사상가 그룬트비의 교육사상을 소개하고, 그의 교육사상 중 하나인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그것이 오늘날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시대·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그의 교육사상의 특징을 3가지, 즉 폴켈리드 정신을 담은 교육, 삶을 위한 살아 숨 쉬는 교육, 살아있는 말에 의한 상호작용 교육으로 소개하였다. 3가지 중에서 ‘살아있는 말’은 그룬트비가 추구한 삶을 위한 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룬트비의 ‘살아있는 말’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입말을 통해 시와 노랫말로 드러나고, 교사가 육성으로 불러주는 노래가 울려 퍼지고, 유아의 생동적인 삶의 말들이 담기고, 민족의 정신과 역사가 입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Grundtvig, Danish educational thinker an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is educational ideas criticize the nation-led, modern, enlightenment of public education and argue that the free life based on the "living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s the basis of children's education. We also aime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living word', one of his educational idea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Grundtvig's educational thought, and characterized his educational thought by teaching folkelighed's spirit, living and breathing education for life, and interactive education for the 'living word'. The 'living word' emphasized by Grundtvig is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life' pursued by Grundtvi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The 'living word' of Grundtvig can be util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in which children's words are revealed through poetry and lyrics, in which teachers sing songs for their upbringing, in which children speak the live word, and the teacher and the child talk about the spirit and history of the nation.

목차

Ⅰ. 서론
Ⅱ.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Ⅲ. ‘살아있는 말’의 유아교육적 함의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김정미. (2019).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3), 153-173

MLA

김은주,김정미.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3(2019): 153-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