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이용수 5
- 영문명
- Conflict and Change of Teachers Supporting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Pla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숙령 여인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247~2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개정 누리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누리교육과정을 유아와 놀이 중심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놀이의 주인인 영유아들이 직접 놀이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교사가 계획하고 주도하여 진행하던 방식과 다르게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는 보육교사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 주도적 놀이 지원의 교육현장 적용점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어린이집 담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4개월 동안 영유아 주도적 놀이 지원 실천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였을 때 교사들의 갈등은 새로운 시도의 갈등, 고착화 된 고정 관념과의 갈등, 영유아를 배려하지 않는 교사 주도 교실상황에 대한 갈등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변화로는 영유아의 선택권과 결정권 인정, 영유아의 주도적 놀이 지원 증가, 영유아 놀이 문화의 변화, 경험적 지식으로 얻는 교사 내면의 변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의 주체는 영유아이며 기관에서 놀이를 영유아의 눈으로 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t the time of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this present research explored teachers’ experiences and reflection supporting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pla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eacher-planned running of the curriculum. Supporting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play means that children choose, decide, and construct play themselves instead following the teachers’ instructions. We interviewed te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four month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s supporting children’s self-directed play. Teachers recognized the conflict of the new trial of support, their fixed idea, and teacher-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as obstacles against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play. The teachers showed changes of approval and consideration of children’s play choice, of increase in supporting self-directed play, and of caring for play environment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구성 및 유아 반응
-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 체험적 인권교육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한국 번역판 변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 분석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 그림책의 이중독자 문제와 고유명사: Claude Ponti의 Georges Lebanc을 중심으로
-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