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이용수 0
- 영문명
- Day 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t Time and How to Improve I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경욱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213~2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7월부터 시행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휴게시간 운영을 위한 보육교사의 개선방안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이 어린이집의 근무여건과 함께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리 잡는 데 필요한 길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D광역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교사가 연구참여자로 참여하였으며, 2018년 7월 30일부터 2018년 12월 30일까지 22주간, 2차에 거쳐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참여자 및 연구자의 저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는 새롭게 시작되는 오후 / 외출의 자유 / 소소한 행복 / 휴게중의 심리적 불안 / 외출의 부담감 / 지연되는 업무들로 나타났고, 효율적인 휴게시간을 위한 개선방안 영역의 분석결과는 교사의 입장을 고려한 휴게시간 / 법률의 현실화 / 충분한 인력배치 / 현실에 맞는 보육환경 / 조기퇴근제 도입 / 축소된 업무분담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육교사들의 휴게시간에 대한 바람을 반영하는 개선방안들이 마련되어 조속히 시행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y care teacher’s experience with rest time that started from July 2018 and their hopes for effective rest time fitting into the child care field, and to provide necessary guidance for rest time to day car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with other working conditions in positive way. Ten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a child care center in D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2 stages from July 30 to December 30, 2018 for 22 weeks. The participant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ences of day care teachers on rest time were as follows: newly started afternoon; freedom of going out; little happiness; reality of child care field; uncomfortable going out; and delayed work. The teachers’ hopes for rest time were as follows: rest time considering the teacher’s position; realization of the law; sufficient manpower placement; child care environment suitable for reality; introduction of early leaving office; and reduced workload.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measures reflecting the wishes of day care teachers for rest time would be im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구성 및 유아 반응
-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 체험적 인권교육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한국 번역판 변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 분석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 그림책의 이중독자 문제와 고유명사: Claude Ponti의 Georges Lebanc을 중심으로
-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