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based on Havuruta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3호, 387~4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과목에 대한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이루어졌다.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과정에서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가치관을 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르부타 학습에 기반한 토론중심의 다문화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다문화사회에 대한 바른 가치관을 갖고 대처할 수 있는 예비교사의 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 요구분석,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짝과 질문하고 대화하는 토론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다문화적 소양과 가치관을 형성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을 구성하였다.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은 토론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가치관을 성립하고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올바른 다문화소양을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며, 능동적 상호작용의 원리, 공감과 역지사지, 토론과 경청의 원리를 주요 교수원리로 삼으며 딜레마 주제를 중심으로 ‘논제 조사하기-짝 논쟁-모둠 논쟁-발표-쉬우르(피드백)’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teaching model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aimed at preliminary teachers in colleg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be merely focused on adaptive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ut should be applied as a curriculum for all those who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t only knowledge and skills about social problems, but also analytical thinking that makes criticism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helps change one’s attitude.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fants, it is significant for preliminary teachers to establish proper valu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training sessions. To this end, we developed a discussion-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Harvuta learning, and proposed a teaching model suitable for training teachers to cope with the right valu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Thus, a model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s, requirements analysis, and expert consultation was constructed so as to enable learners to form multicultural literacy and value during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ir classmates during debates. Establishing diverse values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by contributing in debates and forming the right multicultural literacy as a teacher are the main goals of this study. In this respect, active interaction, empathy, discussion and listening are the main teaching principles. Moreover, the lesson consists of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the topic - pair dispute – group dispute – presentation – feedback.'.
목차
Ⅰ. 서론
Ⅱ.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교과목 개발 과정
Ⅲ.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교과목 수업모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구성 및 유아 반응
- 유아수학교육 및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야기
-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 체험적 인권교육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한국 번역판 변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 분석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 그림책의 이중독자 문제와 고유명사: Claude Ponti의 Georges Lebanc을 중심으로
-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