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Father's Role in Korean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지은 배선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15~1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창작된 유아용 그림책 중 제목에 '아버지'가 표현된 책의 양적 변화와 그 내용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을 분석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아버지 역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출판연감의 유아용 국내 창작 그림책 중 제목에 '아빠' 혹은 '아버지'를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 총 56권의 880개 장면을 대상으로 아버지 역할 유형 분석 도구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용 국내 창작 그림책 중 처음으로 '아버지'라는 단어가 제목에 나타난 것은 1985년이고, 이후 2016년 5월까지 총 56권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며 출판되고 있었다. 둘째,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은 놀이 상대, 정서적 지지, 신체적 접촉, 돌봐주기, 일상생활활동, 기능 전달, 직업활동, 기타(자녀에 대한 방관 등), 가사활동, 훈육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역할 변화는 놀이상대, 정서적 지지, 신체적 접촉이 다른 역할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에서 2004년 사이를 기점으로 기능전달은 계속 감소하며 돌봐주기가 나타나고 정서적 지지가 상승하였으며, 현실 사회 속의 아버지의 모습이 그림책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study were to analyze the quantitative change of Korean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ressing ‘father’ in the title published from 1985 to May 2016 and the father's role in the context of the picture books and to explore the change of the father’s rol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implication and meaning of the father's role expressed in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s a proper direction for the contents of picture books for the father’s role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of this era. The study books consisted of 880 pieces of which 56 books included ‘dad’ or ‘father’ in the titles of the Korean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which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Publishers Yearbook from January 1985 to May 31, 2016. This study analyzed the father's role by combining the texts and pictures. Parental role analysis was used to revise the parental behavior type analysis criterion_(Park, So-yoon, 2016),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each sub-category by combining the texts and pictu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rst time the word ‘father’ appeared in the title of a picture book was in 1985 followed by a total of 56 books until May 2016 with a steadily increasing trend. Second, the roles of the father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lay partner, emotional support, physical contact, taking care, daily life activities, function delivery, occupational activities, other_(onlooking children, lethargy due to unemployment, father who expresses his fear on some objects, etc.), household activities, and discipline. Third, the change in the father's role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roles without changing the role of ‘play partner’,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contact’ from 1985 to May 2016. However, from 2000 to 2004, ‘function delivery’ continued to decrease, and ‘taking care’ and ‘emotional support’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Onlooking children, lethargy due to unemployment, and expressing fear of an object, which had never appeared in the past, began to show in picture books gradually to portray a realistic fat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이론에 기초한 유아문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문학에 대한 변화 탐색 : 인식, 태도, 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 승계예정자의 사립유치원 승계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 북한 과학환상동화 '동굴섬의 새전설'에 나타난 북한의 정치사회화 맥락과 아동관
-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 릴레이 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연구
- 그림책 유형별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반응연구 :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 그림책에 나타난 책 읽는 등장인물 분석
- 그림책 해석의 영성적 접근 : 은혜 개념을 중심으로
-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Selection of Picture-books Using the AHP
- Ezra Jack Keats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아동의 발달
-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의 실태 및 요구 분석
- 목공활동과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임신기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부의 '부모됨'의 변화
-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영아학대 예방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질적 애착관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Reviewing the Three Types of the Korean Diaspora in terms of Assessing the Degree of Socio-cultural Estrangement
- 펠던크라이스 기법을 활용한 유아동작활동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