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Korean Infant Picture Book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진영 이예은 주현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2호,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선행연구 현황 및 연구 주제의 주요한 하위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8월부터 2024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영아 그림책 학위논문 132편과 학술지 논문 87편을 대상으로 총 219편의 논문에서 정제된 키워드를 빈도분석, 중심성분석, 전체 네트워크 시각화 및 모듈러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는 ‘글있는그림책’, ‘그림책읽기’, ‘어휘발달’, ‘사회정서발달’, ‘의사소통능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인적 발달과 통합적 교육 접근’, ‘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회적 관계 형성’은 주요 하위 구조로 도출되었다. 또한 ‘어휘발달’과 ‘의사소통능력’은 중심 노드로서 높은 연결성을 나타냈다. 반면, ‘극놀이활동’, ‘다문화가정’, ‘실외놀이활동’, ‘역할놀이’, ‘그림책확장활동’은 출현 빈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고립된 노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적 접근이 보다 다양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연계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아 그림책이 전인 발달을 촉진하는 중요한 교육 매체임을 강조하며, 생애 초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research trends and thematic structures in studies on picture books for infants in South Ko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 total of 219 papers, including 132 theses and 87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August 2000 to September 2024,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network visualization, and modular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refined keywords. High-frequency keywords included ‘picture books with text,’ ‘picture book reading,’ ‘vocabulary development,’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Major thematic substructures included holistic development, support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Vocabulary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emerged as central nodes with high connectivity. In contrast, keywords such as ‘dramatic play,’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tended picture book activities’ appeared as isolated nod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more diverse and culturally inclusive educational practices using picture books. The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picture books in supporting holistic development and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전공심화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