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야기 릴레이 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Children's Imaginative Narrative Found in a Story Relay Activi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조아라 임부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341~3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야기 릴레이 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N병설유치원의 만 4세 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달간 이야기 릴레이 활동을 실시하였고 총 30회의 활동 사례를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은 다양한 응집장치와 자신만의 시간 전략을 사용하여 협력적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이야기가 맥락을 벗어나지 않도록 소통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화자와 청자의 입장을 오가며 이야기의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였고, 이야기를 더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신체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실계와 상상계를 넘나드는 유아의 이야기는 순간순간 발생하는 유아의 흥미의 욕망을 따라 전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자와 청자의 사이, 현실과 상상의 사이를 넘나들며 상상적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유아의 이야기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아의 내러티브 구성 및 표현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자극할 수 있는 이야기 릴레이 활동의 가치 또한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상상력과 협동심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내러티브 활동이 탄생하길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imaginative narrative found in a story relay activity. To this end, a story relay activity was done for a month with children attending the 4-year-old class of N-affiliated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A total of 30 activity cases were collected as materials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children organized a cooperative narrative employing various cohesion devices and their own time strategies. Second, children listened to each other’s story and tried to communicate not making their story off the context. Third, children went back and forth from the position of a narrator and a listener and complemented what was lacking in the story. To deliver an even more interesting story, sometimes, they used their body as well. Lastly, the children’s story crossing the line between the real world and imaginary world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desires and interests that happened to arise in each moment. In this study, this author found children’s story-telling skills to organize an imaginative narrative crossing the line between a narrator and a listener and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Additionally, the value of the story relay activity was shown to stimulate children’s narrative organization and expression skills as well as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future, a variety of narrative activities will need to be produced that can encourage children’s imagination and cooperative spiri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아라,임부연. (2017).이야기 릴레이 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 (3), 341-362

MLA

조아라,임부연. "이야기 릴레이 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3(2017): 341-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