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age of Working Moms found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조은 김한을 김혜령 조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여성의 모습으로, 직장을 다니며 자녀를 양육하는 '워킹맘'의 이미지가 그림책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워킹맘을 주요 인물이자 주제로 하는 그림책, 『이상한 엄마』, 『엄마는 회사에서 내 생각해?』, 『오늘도 마트에 갑니다』, 『회사괴물』 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림책의 글과 그림을 통해 나타나는 워킹맘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그림책에서는 워킹맘에 대한 다소 부정적 시선이 드러났지만 이를 극복해가는 긍정적인 변화도 함께 볼 수 있었으며, 워킹맘으로서 역할 갈등을 느끼는 모습, 그리고 조력자를 필요로 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이 갖는 사회적인 영향력과, 영유아의 발달에 대한 가치를 고려했을 때 워킹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Nowadays, more mothers tend to have a job while raising their children, often called ‘working m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image is working moms have in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4 picture books that focus on working moms as a main character, The Weird Mom, Mom! Do You Ever Think of Me at Work ?, 『I’m Going to the Mart Today as Usual and Working Monster. Thus, this study analyzed how working moms are depicted in the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ose picture book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picture books analyzed in this study present a negative view on working moms and depict women as having role conflicts or needing hel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social influences and values of picture book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s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working moms as well as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or them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의 협동 요소 분석과 협동활동에서 나타난 또래관계의 양상 : 협동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5세 유아의 책읽기 경험에 대한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칭찬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놀이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과교육학지식과 교수실제의 관계에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그림책 전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avid Wiesner의 『시간상자』에서 서사 장치로서의 숏과 프레임
-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감능력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