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이용수 2
- 영문명
- Ethical Attributes Implicit in Children's Picture Book Review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07~2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을 밝히는 데 있다. 그림책 서평을 내용 분석한 선행 연구들은 바람직한 서평의 조건으로 그림책 매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평론자의 전문적 판단과 가치 평가에서의 객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무엇에 대한 객관적 태도 혹은 가치 평가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윤리적 차원의 숙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논제, 즉 텍스트에 대한 평론자의 태도, 평론에서의 가치 평가의 문제 그리고 그림책 서평의 내용을 구성하는 묘사, 해석, 판단에서의 윤리적 요소를 다루었다. 논제를 다루기 위한 논거들은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연구와 더불어 문예 비평(문학, 미술, 문화)과 해석학에서 가져왔다. 텍스트를 존중하는 독서 태도는 성실하고 충실한 묘사를 위한 선행조건이 되며 묘사는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해석을 이끌고 이는 그림책의 가치 판단에 대한 근거와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그림책 서평이 어린이의 복지를 위한 실천 윤리적 규범을 따를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Michael Sandel이 주장한 것과 같이 모든 공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기초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thical attributes of children's book reviews. Preceding studies analyzing the contents of picture book reviews have emphasized the objectivity of professional judgment and the value of critic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 media as a criterion of desirable book review. However, in modern post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thical dimension to assert an objective attitude or to valuate something. Therefore, this thesis deals with three issues, namely, the attitude of the commentator on the text, the problem of valuation in the critique, and the ethical elements in the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judgment which constitute the content of the book review. The arguments for dealing with the thesis came mainly from literary criticism (literature, art, and culture) and hermeneutics. A reading attitude that respects text is a prerequisite for a sincere and faithful depiction, and the description leads to a rational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which can provide a basis for judging the value of a picture book.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ook review should follow practical ethical norms for the welfare of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Michael Sandel's assertion is of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necessity of moral foundation in all public spheres.
목차
Ⅰ. 서 론
Ⅱ. 독자로서 평론자의 책무
Ⅲ. 서평과 비평에서의 가치평가
Ⅳ. 그림책 서평의 각 요소에 있어서의 윤리적 속성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의 협동 요소 분석과 협동활동에서 나타난 또래관계의 양상 : 협동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5세 유아의 책읽기 경험에 대한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칭찬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놀이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과교육학지식과 교수실제의 관계에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그림책 전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avid Wiesner의 『시간상자』에서 서사 장치로서의 숏과 프레임
-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감능력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