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conomy Education Based on Social Rationality on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and Sense of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엄나현 이수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97~3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만 5세 유아의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D 시에 위치한 S 유치원의 유아 27명을 실험집단으로, B 유치원 유아 25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을 5주간 총 12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분배 공정성 검사와 공동체 의식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분배 공정성 점수가 통제집단의 분배 공정성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공동체 의식 전체와 하위요인인 소속감, 조화, 자발적 참여, 공공의식,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이 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는 교육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conomy education based on social rationality on 5-year-old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and sense of commun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 children from S kindergart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for the control group in D city. Early childhood economy education based on social rationality was done two to three times a week over five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12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test and the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test and analyzed by an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for the distributive just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scores for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cluding all sub-factors (sense of belonging, harmony, voluntary participation, public awareness, sense of unity, and sense of mutual infl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arly childhood economy education based on social rationality can improve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and sense of commun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의 협동 요소 분석과 협동활동에서 나타난 또래관계의 양상 : 협동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5세 유아의 책읽기 경험에 대한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칭찬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놀이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과교육학지식과 교수실제의 관계에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그림책 전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avid Wiesner의 『시간상자』에서 서사 장치로서의 숏과 프레임
-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감능력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