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Effects of Book Making Activities Through Information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Attitud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 권민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73~2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10명, 여 8명)과 D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7명, 여 11명)을 실험, 통제 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하고 책을 만들어보는 경험을 9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9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은 유아의 어휘력 전체 및 이해어휘, 표현어휘 모두에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읽기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 발달과 읽기태도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ok making activities through information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five-year-old children (10 boys and 8 girls)from a kindergarten annexed to O elementary school for the experiment group, 18 five-year-old children (7 boys and 11 girls) from D kindergarten for the control group in D Metropolitan City.The experimental group had activities that included reading informational picture books, observing objects, and making books for 9 weeks with 3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20 sessions. The control group had activities that included reading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observing objects for 10 sessions over 9 weeks. The vocabulary competence of the children was tested by adapting Song`s(2010) vocabulary test. Reading attitude was measured with Chae`s(1995) instrument. Each group`s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pre-and post-tests were calculated with SPSS 19.0. ANCOVA using the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was done to der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for overall vocabulary competenc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ptive vocabulary, a sub-factor of the vocabulary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Express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ok making activities through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re effective for develop the vocabulary and reading attitude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의 협동 요소 분석과 협동활동에서 나타난 또래관계의 양상 : 협동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워킹맘' 이미지 분석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5세 유아의 책읽기 경험에 대한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칭찬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합리성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이 분배 공정성과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놀이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과교육학지식과 교수실제의 관계에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그림책 전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avid Wiesner의 『시간상자』에서 서사 장치로서의 숏과 프레임
-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감능력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