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ase Study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of Piagetian and Vygotskian Theories

이용수  7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창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249~27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ory and practice do not necessarily go hand in hand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apply imported pedagogies (e.g., constructivism) to their practices. Two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were examined in the context of Piagetian structuralist approach and Vygotsky's signature concept,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Dynamic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 two kindergarten teachers adopt a Piagetian structuralist approach? (2) How do two kindergarten teachers apply Vygotsky's ZPD concept to their teaching? An evaluative case study examined the two teachers' thoughts and practices by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teachers had to consider performance variables so not to be fooled by a child's performance and assess their students' competence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They not only had to grasp the concept ZPD but also be in line with some basic rules of Dynamic Assessme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verification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if the abstract theories taught to South Korean teachers are properly implemented in their teaching practice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교사교육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구성주의 이론을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얼마나 실제로 적용하고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고, 이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피아제의 구조주의 접근법과 비고츠키의 핵심개념인 근접발달영역과 역동적 평가와 관련하여 두 유아교사의 신념 및 실천정도를 탐색하였다. 도구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이 현장에서 실제로 교사와 유아간의 교수학습활동에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렌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조화 혹은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과 교실관찰을 병행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수행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한 교사는 아동의 수행정도와 실제능력 간의 차이를 명료히 파악한 반면, 그렇지 않은 교사는 아동의 수행능력과 실제능력을 혼동하여 아동의 실제발달수준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두 교사 모두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교사가 이론적인 지식에서 나아가 이를 역동적 평가 등의 실제교수학습능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적용과 관련한 지식과 연습을 보다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유아교육현장과 유아교육과정에 구성주의 이론이 보다 완성도 있게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사교육자(teacher educators)와 교사교육자 교육자(teachereducator educators)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The Purpose of the Study
Ⅱ. Methods
Ⅲ. Results
Ⅳ.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기. (2016).A Case Study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of Piagetian and Vygotskian Theorie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3), 249-271

MLA

이창기. "A Case Study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of Piagetian and Vygotskian Theorie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2016): 249-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