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성경적 덕성교육 모형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Biblical Virtues Education(BVE)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옥경 정대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413~44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성경적 덕성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기존의 교수-학습방법들이 덕성을 내면화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와 하브루타 교수-학습방법을 통합 적용하여 덕성의 내면화를 위한 유아 인성교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 요구조사, 유아교육 전문가 면담,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 및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최종 개발된 모형은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수업준비단계, 수업진행단계로서 내러티브 접근의 성경이야기 나누기와 극화하기, 하브루타 접근의 성경인물 인터뷰하기, 그리고 평가로 구성되었다.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성경적 덕성교육 모형은 유아의 정서지능 및 인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biblical virtues education (BVE) model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ev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hich integrate cognition, emotion, and will, have shown limited effects in internalization of virtues since they focus on knowledge. The proposed model aims to enhance internalization of virtues by applying both the narrative approach and the havruta approach. In developing the BVE model, literature review, requirements survey with parents,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feasibility review by experts, and preliminary study were performed. Finally, the developed BVE model consisted of education purpose and goals, education contents, class preparation step, sharing and dramatizing the bible story with narrative approach, and interviewing persons from the story with havruta approach as a class execution step, and evaluation. The BVE model is expecte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human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Case Study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of Piagetian and Vygotskian Theories
- 예비유아교사의 과잉경쟁태도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능력의 차이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학활동에 대한 연구 :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의 실제편 활동 분석
- 그림책의 재미 요소 탐구 : 유아의 반응을 중심으로
- 권윤덕 그림책의 서사 양상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 가정의 어머니-손위자녀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창의적 인성, 교수몰입이 교수수행에 미치는 영향
- 철학놀이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설명적 텍스트 이해와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패러디 동화 읽기와 사후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 바깥놀이를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지능 개념 및 구조분석
- 장애유아 부모의 역할지능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 영아와 어머니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
-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 내용 분석
- 그림책에 기초한 주제환상극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성경적 덕성교육 모형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