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
- 영문명
- The Effect of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ir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7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서울시 K구에 위치한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하였다. 실험은 8주간 주 2회 총 16차시에 걸쳐 이루어졌고,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교사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와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 여부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하고 난뒤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은 토의활동을 실시하기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재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 발달을 위해 이러한 교육적 접근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S kindergarten located in K district, Seou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included 48 five-year-old children: 23 for the experimental group, 25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read aloud picture books and held discussion activities. The treatment was given 16 times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23, 2015 (for about 8 weeks). Prior to and after the experiment,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were done. Each examination was done by measuring the children``s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eadership.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for every sub-construct of leadership assessment: challenge and confidence, respect for others, self-control, and problem solving.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ssessment were encouraged: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and empath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did not affect their social skill which is included in emotion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Case Study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of Piagetian and Vygotskian Theories
- 예비유아교사의 과잉경쟁태도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능력의 차이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학활동에 대한 연구 :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의 실제편 활동 분석
- 그림책의 재미 요소 탐구 : 유아의 반응을 중심으로
- 권윤덕 그림책의 서사 양상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 가정의 어머니-손위자녀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창의적 인성, 교수몰입이 교수수행에 미치는 영향
- 철학놀이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설명적 텍스트 이해와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패러디 동화 읽기와 사후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 바깥놀이를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지능 개념 및 구조분석
- 장애유아 부모의 역할지능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 영아와 어머니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
-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 내용 분석
- 그림책에 기초한 주제환상극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성경적 덕성교육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