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

이용수  29

영문명
Digital Storytelling Persuades New Teachers to Stay in the Early Childhood Profess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변유미 조형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505~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멘토가 되어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5명의 초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3개월 동안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하여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을 지원하는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기반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유아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그러한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활용한 멘토링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은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멘토링과정에서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얻기 위해 12주 동안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정과 교직생활에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심리적·정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직문화를 이해하고 전문적인 지원에 앞서 심리적 안정감이 밑받침되어야 하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적합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mentoring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as an induction program component aimed to improve new teachers’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support. The 12-week mentoring program was done with one researcher as the mentor and six new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ment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personal experiences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Second,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emphasized emotional support rather than professional support. Third, digital storytelling’s accessibility enables the teachers to convey a point of view, a dramatic question or emotional content via the storyteller’s voice, soundtrack, and pacing as well as using just enough content to tell the story without overloading the viewer. Fourth, the mentor’s role was more psychological rather than professional. Furthermore, the digital storytelling, a short weekly journal and an interview process created an atmosphere for both the mentor and mentees for reflection. Mentees completely opened up to the mentor; thus, the mentor was able to understand their levels of stress and anxiety. Finally, the suggested mentoring program incorporates the idea that one program does not fit all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lications in teacher education and policies are also discussed.

목차

I. 들어가기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유미,조형숙. (2016).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3), 505-532

MLA

변유미,조형숙. "초임유아교사의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2016): 505-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