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Adjustment Experiences among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During Emerging Adulthood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민서(Minseo Kim) 안윤정(Yoonjung A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187~2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립준비청년이 청년기 진로발달 단계에서 경험한 적응 과정을 탐색하고, 그 경험이 Arnett(2000)의 청년기 개념과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를 현상학적으로 기술하였다. 20∼24세의 자립준비청년 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구술자료는 Colaizzi(1978)의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여섯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빨리 알아버린 세상의 차가움’ 속에서 정서적 고립과 불안을 경험하였으며, ‘부담감과 죄책감이 나를 짓누름’에서는 조기 생계 책임과 심리적 방어 양상이 표현되었다. ‘관계에서 오는 피로감’에서는 경계 학습과 신뢰 상실로 인한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드러났으며, ‘자립이라는 양날의 검’에서는 자율성과 고립의 양가성이 공존하였다. ‘진로의 주체가 내가 됨’에서는 자기 주도적 진로 재정립 과정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감’에서는 내적 회복과 사회적 책임 의식이 나타났다. 이들의 경험은 자아정체성 탐색, 자기중심성, 가능성의 기대와 같은 Arnett(2000)의 청년기 개념과 일부 접점을 보였으나, 조기 책임 수용, 도덕적 기준 중심의 성인성 인식, 외적 조건에 의한 자기 탐색 등의 측면에서는 발달적 이질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립준비청년의 적응경험을 청년기의 발달 맥락에서 이해하고, 이들의 삶의 세계에 기반한 지원 방향 및 진로 관련 개입 방안을 수립하는데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plored the adjustment experience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during emerging adulthood and examined how their experiences align with or differ from Arnett’s (2000)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In-depth interviews with twelve individuals aged 20 to 24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method. Six themes were identified: emotional isolation in ‘The Coldness of the World I Learned Too Early’, early responsibility in ‘Being Crushed by Burden and Guilt’, interpersonal fatigue in ‘The Fatigue That Comes from Relationships’, ambivalence in ‘The Double-Edged Sword of Independence’, self-directed career formation in ‘Becoming the Subject of My Own Career’, and resilience in ‘Living On Nonetheless’. These experiences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such as identity exploration and self-focus, while also revealing distinct features including early acceptance of adult roles, morally grounded perceptions of adulthood, and identity formation shaped by external conditions. The findings provid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adjustment experience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ally grounded support and career-related interven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Teacher’s Narrative Competency and Its Implication
-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 한국아동복지학
- 한국사회복지학
- 정신간호학회지
- 대한간호학회지
- 청소년 문화포럼
- 담론201
- 가족과 문화
- 문화와 사회
- 인간이해
- 한국청소년연구
- 미래청소년학회지
- 인간발달연구
- 영재교육연구
- 한길사
- 질적연구
- 보건복지 Issue & Focus
- 보건복지포럼
- 진로교육연구
- 취업진로연구
- 방송통신연구
- 영재교육연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문화와사회
- 박사학위논문
- 청소년학연구
- 진로교육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류 분석 상담 연구
- American Psychologist
- Oxford University Press
- Oxford University Press
- 리부트
- Emerging Adulthood
-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 NYU Press
-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 Psychology Press
- SAGE Publications
-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 Teachers College Record
- Journal of Youth Studies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 Youth & Society
- Harper & Row
- In M. C. Smith & N. DeFrates-Densch (Eds.), Handbook of research on adult learning and development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