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ata Creator Competency Test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현(Sunghyun Kim) 이경화(Kyung-Hwa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151~18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직종으로 부각되고 있는 데이터 크리에이터의 개념과 역량을 정의하고, 이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역량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절차는 1단계로 데이터 크리에이터의 개념을 확정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데이터 관리, 컴퓨터 관리, AI, 정보윤리의 5개의 범주와 16개의 구성요인을 확정하였다. 2단계로 1단계에서 확정한 범주와 구성요인을 근거로 하여 71개의 역량측정을 위한 초기문항을 개발한 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3단계로 연구대상은 데이터 구축을 경험한 대학생 및 성인 778명을 대상으로 하며, 수집된 자료 중에서 불명확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77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인타당화 작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첫째 데이터 크리에이터란 데이터를 수집, 정제, 가공, 검수, AI탑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들의 역할은 데이터의 창의적 해석과 수집, 분석 방법론을 창출하고, 데이터의 가치를 판단하고, 이를 최종결과물로 만들어 내는 것을 이끌어 가며,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활용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는 3개의 범주(컴퓨팅 창의적 문제해결, 데이터 및 컴퓨터 관리, AI와 정보윤리)와 7개의 구성요인(창의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 컴퓨터 문제해결, 데이터 관리, 컴퓨터 관리, AI, 정보윤리), 5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본 검사는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교차타당도 확인을 통해,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fine the concept and competencies of data creators, which are emerging as a new occupation, an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mpetency test that can measure these competencies.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 the concept of data creators was confirmed, and five categories and 16 components were confirmed: creative problem solving, data management, computer management, AI, and information ethics. In the second stage, 71 initial questions for competency measuremen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ategories and components confirmed in the first stage,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In the third st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778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d experience in data construction, and among the collected data, unclear data was excluded, and a total of 774 data were used for recruitment validatio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ata creators were defined as people who perform tasks such as collecting, refining, processing, inspecting, and installing AI in data. Their role is to create creative interpretation and collection of data, analyze methodologies, judge the value of data, lead the production of this as a final result, and utilize data to solve problems or derive utilization methods. Second, the data creator competency test consists of 3 categories (compu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data and computer management, AI and information ethics) and 7 components (creative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uter problem solving, data management, computer management, AI, information ethics) and 57 questions. Third, the validity of this test was proven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Teacher’s Narrative Competency and Its Implication
-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 학지사
- 한빛아카데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2018년도 한국정보학회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 정보통신방송정책
- 임상사회사업연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정보사회와 미디어
- 평생교육․HRD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교육과학사
- 스마트미디어저널
- 2019년도 한국정보학회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로봇학회논문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Journal of E-learning and Knowledge Society
- Dubuque,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 학지사
- Nursing Research
- Social Work Research
- Nursing Research
- Proceedings of the 33rd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