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Focused on Variables of Young Children, Home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희 최미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307~3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이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어떠한 변인이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J도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5세 유아 312명과 유아의 어머니 312명, 담임교사 2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사-유아 관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부모-교사 파트너십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있어 유아 개인변인을 비롯한 가정환경변인과 사회 환경변인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하여 유아 사회적 유능성 향상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at effects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home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have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which variables have a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12 five-year-olds, 312 mothers, and 21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of G City and J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Pearson’s correlation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variables.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home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on social competenc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ariables of the young children, the variable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variables of social environment were demonstrated to b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dditionally, social competence was found to be relatively affected by the factors of self-esteem, teac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in that orde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es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home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서(Forgiveness) 그림책에 나타난 용서개념 발달단계와 만 5세 유아의 용서개념에 대한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과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의 관찰·기록 역량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 탐구
-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연구 - 교수자의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
- 보육교사 소진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게슈탈트 기법을 중심으로 -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여우누이 설화를 재화한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미 연구 - 여우 설화에 나타난 두려움의 양상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