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이용수 106
- 영문명
- A play-centered curriculum course to improve literacy and executiv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진이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교육과정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교사와 유아의 유의미한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위치한 공립단설 A유치원의 4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1차 실행과정에서 문해력 증진을 위해 문제 파악하기, 변화를 위해 계획하기, 실천하기, 반성하기의 4단계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2차 실행과정에서 실행력 증진을 위해 계획하기, 실천하기, 자료수집하기, 평가하기의 4단계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철학적 배경 및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놀이 속 교육과정 요소 분석 능력 증진 및 어떤 배움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유아중심 교육과정 운영 능력이 신장되었고 놀이지원자로서의 역량이 강화되었으며 교육 구성원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 공동체를 운영하게 되었다. 또한 유아들은 누리과정의 주체자가 되었고 놀면서 배우며 진정한 놀이를 즐기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교사가 교육과정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의 중요성과 유아중심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peration of a play-based curriculum through the pro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striving to improve curriculum literacy and executive skill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fifteen 4-year-old children at a public A kindergarten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D, and an implementation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identifying problems, planning for change, acting, and reflecting to improve literacy in the first implementation proces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proces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our stages: planning, implementation, data collection, and evalu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execute. As a result, teachers have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curriculum theory of play-based curricula, improved their ability to analyze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in play, identify what is happening, and improved their ability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ability to operate an early-school-centered curriculum has been enhanced; the capacity of play supporters has been strengthened, and an educational community created by the members of education has been operated. In addition, the toddlers became the main actors in the nurturing process, learned by playing, and enjoyed real play.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orts to promote curriculum literacy and performance, and the need to explore ways to manage the curriculum through child-centered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유아교사가 문해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
Ⅳ. 유아교사가 실행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
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가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의 의미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서(Forgiveness) 그림책에 나타난 용서개념 발달단계와 만 5세 유아의 용서개념에 대한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과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의 관찰·기록 역량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 탐구
-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연구 - 교수자의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
- 보육교사 소진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게슈탈트 기법을 중심으로 -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여우누이 설화를 재화한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미 연구 - 여우 설화에 나타난 두려움의 양상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