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배율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231~2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3곳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모든 설문 문항에 빠짐없이 응답한 30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25개 문항), 회복탄력성 검사 도구(26개 문항), 놀이교수효능감 측정 도구(21개 문항)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의 4번 model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놀이교수효능감 세 가지 변인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지도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300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4-year early childhood eudcation departments located at Gangwon State, Gye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all survey questions. The mediation effect was explored using SPSS 26.0 and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v4.2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ir resilien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silienc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guidance strategies are needed to effectively suppor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improve the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서(Forgiveness) 그림책에 나타난 용서개념 발달단계와 만 5세 유아의 용서개념에 대한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과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의 관찰·기록 역량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 탐구
-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연구 - 교수자의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
- 보육교사 소진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게슈탈트 기법을 중심으로 -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여우누이 설화를 재화한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미 연구 - 여우 설화에 나타난 두려움의 양상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