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22
- 영문명
- Exploring unit development for developing children's storytelling competencies: Focusing on Lauritzen and Jaeger's narrativ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 김수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67~1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동교육에서의 목표는 단순한 흥미 위주의 학습이 아니라 아동 자신의 삶과 연계된 학습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적이며 문제해결력 등의 창의적 사고를 갖춘 역량 함양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역량의 역할과 가치를 탐색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방법은 스토리텔링 역량과 내러티브에 대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례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종합하여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식으로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주목하였다. 먼저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 단계인 맥락-탐구 질문–목표 필터-탐구 조사-완성 및 정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후, 이 모형의 절차를 적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 중 의사소통 영역과 사회관계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화목한 우리 가족’ 단원을 개발하였으며 템플릿으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5단계로이루어지며문학적 내러티브를 활용하였다. 일련의 모든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의사소통 도구로 내러티브를 활용해야 하며 수업 상황에서 담론 형태의 내러티브가 활용되어야 한다. 결국,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접근해야 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함양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In children's education, the focus should be on fostering self-directed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such as problem-solving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relevant to the child's own life, rather than just interest-based learning.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and value of storytelling competence and propose a curriculum design approach to develop it.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on storytelling competence and narrative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and synthesized narrative and storytelling case studies to propose a narrative curriculum design.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d on Lauritzen and Jaeger's narrative curriculum as a curriculum design method to foster storytelling competence. First, we analyzed Lauritzen and Jaeger's narrative curriculum stages: context-exploratory question-goal filter-exploratory investigation-completion and organization. Then, the procedures of the model were appli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unit 'Our Harmonious Famil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 as a template. The model of this study consists of five stages and utilizes literary narrative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narrative should be utilized as a communication tool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narrative in the form of discourse should be utilized in classroom situations. In the end, narrative should be approached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storytelling competence should be foste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방향과 절차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서(Forgiveness) 그림책에 나타난 용서개념 발달단계와 만 5세 유아의 용서개념에 대한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과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의 관찰·기록 역량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 탐구
-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연구 - 교수자의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
- 보육교사 소진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게슈탈트 기법을 중심으로 -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여우누이 설화를 재화한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미 연구 - 여우 설화에 나타난 두려움의 양상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资本逻辑下“00 后”大学生婚恋抑制的审视与解放
- 重构个体与生产资料的连接方式——马克思主义视角下社会工作介入轻罪治理体系的逻辑
- A Review of Research on the Governance of Cross-Border Data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