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이용수  16

영문명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Effects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Adjustment to Daycare Center - Focusing on Gyeongju and Pohang -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명화 김수향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87~2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 양육 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경북 G,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와 연구에 참여하는 유아의 아버지 각각 286명이다. 본 연구는 2021년 12월 13일부터 2022년 2월 11일까지 유아의 놀이성 측정과 적응정도는 담임교사가 알아보았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의 아버지가 자신의 양육참여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의 놀이성 및 놀이성의 하위요인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및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요인 친사회성, 기관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상호작용, 자아상태, 일과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교육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adaptation to daycare.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86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attending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and P cities in Gyeongsangbuk-do, and the father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In this study, from December 13, 2021 to February 11, 2022, the homeroom teacher measured the children's playfulness and degree of adaptation, and the father of the child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ed his level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the infant's playability and adaptation to the daycare center. Secon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playfulness and its sub-factors: proactive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enjoyment, and voluntary immersion. Lastl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fant's adaptation to the daycare center and its sub-factors: prosociality, emotional state at the institution, interaction between peers, ego state, and adaptation to routine. In conclusion, it is educationally suggested that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children's playfulness and adaptation to day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화,김수향. (2023).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 (4), 187-210

MLA

김명화,김수향.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4(2023): 187-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