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Analysis of Reading Reactions of Children Aged 3, 4, and 5 to the Wordless Picture Book “Wav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숙령 백경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읽기 반응을 살펴보고 글 없는 그림책이 유아의 교육과 놀이를 위한 개방적 자료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D시의 A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3, 4, 5세 학급의 유아 18명을 대상으로 이수지 작가의 「파도야 놀자」그림책 읽기 반응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은 자발적으로 「파도야 놀자」그림책에 관심을 보인 유아들이었다. 유아들의 언어적 반응과 함께 손짓, 행동, 표정, 시선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김영천(2016)에 의거하여 범주화하였고 연구자들 간 지속적으로 해석의 과정을 공유하고 구성원 검토를 반복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을 자신만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상하며 읽었고 등장인물과 배경과 관련하여 펼쳐진 그림 장면에 없는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능력을 보였다. 또한 2차원의 정지된 그림을 보며 3차원 공간 내 움직임이 있는 이야기로 생동감 있게 반응하였다. 둘째, 만3세 유아는 전체적 구조 이해보다 단편적인 그림 읽기를 하는 반면, 만4, 5세 유아들은 등장인물의 다양한 입장과 전체 줄거리 맥락의 연속성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해 무한한 상상의 세계와 실제 경험이 담긴 현실 세계를 넘나들며 풍요로운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이 만3, 4, 5세 전 연령의 유아들에게 효과적인 교육매체임과 동시에 개방적인 놀이자료임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글 없는 그림책이 놀이지원 자료로서 적극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eading reactions of infants to picture books without writing were examined. Data on the reading response to Lee Soo-Ji's "Wave" picture book were collected from 18 children in classes aged 3, 4, and 5 years who we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D city.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children who voluntarily showed interest in the picture book “Wave.” Data such as hand gestures, actions, facial expressions, and gazes were collected along with the verbal reactions of young children. Data analysis was categorized based on Kim Young-Cheon (2016), and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increased by continuously sharing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mong researchers and repeating member re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young children read the pictures of picture books without writing in their own various ways and showed the ability to compose stories that were not in the unfolding picture scen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 In addition, while looking at the two-dimensional still picture, the children responded vividly with a story with movement in three-dimensional space. Second, 3-year-old children read fragmentary picture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overall structure, while 4-and 5-year-old children understood the character's various positions and the continuity of the entire plot context. Through picture books without writing, young children showed rich reactions across an infinite imaginary world and the real world containing real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icture books without writing are both effective educational media and open-play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서(Forgiveness) 그림책에 나타난 용서개념 발달단계와 만 5세 유아의 용서개념에 대한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주·포항시를 중심으로 -
-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유아, 가정환경, 사회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과 교사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의 관찰·기록 역량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 탐구
-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연구 - 교수자의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
- 보육교사 소진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게슈탈트 기법을 중심으로 -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여우누이 설화를 재화한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미 연구 - 여우 설화에 나타난 두려움의 양상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 「파도야 놀자」에 대한 만3,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스토리텔링 역량 개발을 위한 단원 개발 탐구: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문해력과 실행력 증진을 위한 과정
- 메타픽션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해석공동체에서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역사수업의 실태
- 교수 승진 제도의 국제 비교 연구 - 한국, 중국, 미국을 중심으로
- 불확실성을 배경으로 미래교육의 대응 전략 - OECD가 발표한’Trends Shaping Education 2008-2022’보고서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