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
이용수 5
- 영문명
- The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with Grandparent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홍주은 어성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219~2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손자녀를 돌보며 어린이집에 등· 하원 지원을 하는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들의 경험과 이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손자녀 등·하원을 지원하는 조부모양육자를 대면하는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개별면담과 전화, SNS 등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로 나눌 수 있는데, 경험에서는 ‘마주하기’, ‘알아가기’, ‘동행하기’, ‘성장하기’ 4가지로 유목화할 수 있었으며, 그것은 동시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이어지며 확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이해에서는 세대 간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잘 늙어감’의 의미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조부모양육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되고, 현대사회에서 조부모를 포함한 주 양육자가 다양해지는 양육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가정연계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돕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childcare teachers in dealing with grandparents who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For the stud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phone calls, SNS, etc.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argeting 7 childcare teachers who meet grandparents who support their grandchildren's check-in and-out of daycare centers.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was adopted. As result, two major components emerged, th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childcare teachers dealing with grandparent caregivers. The experiences could also be merged into four categories: 'facing,' 'getting to know,' 'accompanying,' and 'growing,' which are synchronicity and directionality. We could see it continuing and expanding organically. In the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ing, it was seen that the range of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broadened and that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ell ag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 grandparent caregivers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sponses and to child-rearing environmental changes in modern society where primary caregivers are becoming more diverse including grandparents, and their collaborative efforts with divers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In turn, it is expected to help and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전쟁 경험 내용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토끼의 이미지와 의인화 양상 연구
- 고정순 작가의 일명, ‘다크 그림책’에 나타난 레비나스(Levinas)의 타자(the other)이해
-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사회성 간 관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거짓말의 양상
- 유아교육과정 재개념적 접근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철학적 기초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기관의 원격부모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학습준비도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
- 유치원 교사의 자발적 참여동기, 학습공동체 인식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중국 유동아동(流動兒童)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개발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존중의 실제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