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존중의 실제적 이해
이용수 18
- 영문명
- Practical Understanding of Infant Respect Reflected in the 4th National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숙령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99~2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4차표준보육과정을 영아존중의 관점에서조명하고 영아교사들의 영아존중보육운영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아교사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0∼2세 영아의 독특하고 급변하는 발달적 특성이 영아보육 운영의 어려움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알아보고 영아교사로서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영아보육의 핵심 내용을 다루고 영아지원이 유아지원과 구별되는 특성을 강조하였다. 교사의 인식변화와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서, 대집단 강의나 워크숍보다 기관별, 연령별 영아교사 대상으로 교사가 보육운영 중 자신의 보육활동 및 놀이지원을 순환적, 지속적으로 심화해 나갈 수 있는 성찰 기반의 교사교육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이 영아전문가로서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0∼2세 영아존중 취지를 실제적으로 이해하여 보육운영 역량을 발휘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영아와 교사 모두 행복하고 성장하는 보육현장이 될 수 있도록 교사재교육, 부모교육, 정책적 지원방안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4th National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fant respect and found ways for infant teachers to improve their infant care management cap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unique and rapidly chang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ged 0 to 2 years, which are difficult for infant teachers to understand, are related to the difficulties of infant care operations. In addition, it dealt with what kind of changes should be made as infant teachers and the core contents of infant care. It was emphasized that infant support is distinguished from preschooler support. As necessary support for changing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ing expertise, reflection-based teacher education was presented for infant teachers by institution and age rather than large group lectures or worksho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4th National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that resp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ged 0 to 2 years, and suggested the possible efficient ways to become a happy child care site for both infants an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영아존중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전쟁 경험 내용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토끼의 이미지와 의인화 양상 연구
- 고정순 작가의 일명, ‘다크 그림책’에 나타난 레비나스(Levinas)의 타자(the other)이해
-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사회성 간 관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거짓말의 양상
- 유아교육과정 재개념적 접근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철학적 기초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기관의 원격부모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학습준비도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
- 유치원 교사의 자발적 참여동기, 학습공동체 인식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중국 유동아동(流動兒童)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개발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존중의 실제적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