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자발적 참여동기, 학습공동체 인식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87~19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자발적 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 경기 및 충청지역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78명이 참여했고,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 자발적 참여동기 그리고 놀이지원역량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은 놀이지원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은 자발적 참여동기 그리고 자발적 참여동기는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자발적 참여동기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놀이지원역량을 위한 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과 자발적 참여동기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유아교사교육에서 교사의 인식·심리적 변인에 해당하는 학습공동체 참여 인식과 자발적 참여동기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young play support competenc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argeted 288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and examine these factors’ effect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young children’s resilience were related to play support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전쟁 경험 내용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토끼의 이미지와 의인화 양상 연구
- 고정순 작가의 일명, ‘다크 그림책’에 나타난 레비나스(Levinas)의 타자(the other)이해
-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사회성 간 관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거짓말의 양상
- 유아교육과정 재개념적 접근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철학적 기초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기관의 원격부모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학습준비도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
- 유치원 교사의 자발적 참여동기, 학습공동체 인식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중국 유동아동(流動兒童)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개발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존중의 실제적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