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개발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1
- 영문명
- Perception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Developing Childcare Media Content Using Technology: Focusing on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영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271~2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내용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실행하고, 학습결과(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인지된 학습결과)를 살펴보고, 수업의 장점 및 개선점에 대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동보육학과 학생 11명 중 설문조사를 성실하게 완료한 9명, 면담참여자 6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결과 측면에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인지된 학습결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의 장점 및 개선점의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새로운 학습방식이 좋았으며 창의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개선점으로는 진행 상황에 대한 학습지원,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보육교사 대상 테크놀로지 활용 과제 제공의 필요성,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간 협력 기회의 제공, 학습내용과 기술을 현장과 연계하는 것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간극 완화, 정보의 선별을 통한 콘텐츠 개발 기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관한 구체적 사례를 제공하였으며,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 콘텐츠 개발 경험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rstigated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childcare contents using technology focused on the learning outcomes (technology self-efficacy &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nd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classes. Data from 9 out of 11 participants majoring in Childcare and Education who completed surveys and insights from 6 interviewe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a high-level score in technology self-efficacy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Moreover, participants repor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cknowledg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learning methods in fostering creativity. However, participants also highlighted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he need for additional learning support on monitoring and information about copyright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need for providing tasks related to technology utilization, providing collabo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in project-based learning,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learning content and skills with real-world application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content development using technology based on information filtering skills. This study provides a specific case of project-based learning using technology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childcare media content using technology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improving technology self-effic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전쟁 경험 내용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토끼의 이미지와 의인화 양상 연구
- 고정순 작가의 일명, ‘다크 그림책’에 나타난 레비나스(Levinas)의 타자(the other)이해
-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사회성 간 관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거짓말의 양상
- 유아교육과정 재개념적 접근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철학적 기초에 관한 고찰
- 유아교육기관의 원격부모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학습준비도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조부모양육자를 대하는 보육교사의 경험과 이해
- 유치원 교사의 자발적 참여동기, 학습공동체 인식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중국 유동아동(流動兒童)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보육콘텐츠 개발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존중의 실제적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