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에 대한 유아의 이해와 정서
이용수 5
- 영문명
-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motions about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진주희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323~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에 대해 유아가 무엇을 알고 있고,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감염병 재난 시 유아 지원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세, 만 5세, 초등학교 1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그림 그리기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는 COVID-19가 무엇이며,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고 있으나 전파 경로나 증상, 치료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하였다. 둘째, 유아가 COVID-19 관련 경험에 대해 나타낸 정서는 공포 슬픔 괴로움 혐오 분노 등의 부정적인 정서들이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공포와 괴로움이 가장 많았다. 이는 COVID-19 감염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예방 수칙을 지키는 과정에서 어려움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감염병 재난 발생 시 안정감있게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감염병 재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young children know and feel about COVID-19. To gather children's opinions, individual interviews and drawings were conducted with 105 children whose ages were 4 and 5 or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while young children were aware of what COVID-19 is and how to prevent it well, they misunderstood or did not know the information related to transmission routes, symptoms, and curability. Second, most of young children had negative emotions on experiences of COVID-19 such as fear, sadness, agony, hatred, and anger. These negative emotions were related to concerns and fears about being infected with COVID-19 and to difficulties in following the COVID-19 preventive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nd manuals for the infectious disease disaster, which support children to live their daily lives safely and stably even in the pandemic sit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에 관한 연구
- 숲 그림책에 나타난 생태계서비스와 인간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감정어휘의 탐색
-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그림책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가 바라본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원인에 관한 연구
- 백희나의 「나는 개다」에 나타난 개의 정체성
- 국내 글자그림책의 특성 분석
- 그림책에 묘사된 또래괴롭힘 내용분석 : 1990년부터 2020년까지
-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동기 및 읽기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수상 그림책의 세계관 분석
-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 COVID-19에 대한 유아의 이해와 정서
-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