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305~3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 306명이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본인의 흥미가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본인의 적성과 재능(소질), 성적(합격 가능성), 주변의 권유(부모, 친척, 친구, 선생님 등), 취업의 용이성, 사회적 지위 및 인식, 전공 공부의 난이도, 전공의 미래성, 전공의 인기도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여부에 따라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참여도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와 수업참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진로 및 학업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재학생 유지율과 취업률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major selection periods, major satisf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among new students. The study included 306 new stud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from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tools wer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electives, major satisf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the SPSS 20.0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verag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selectors showed the most frequent interest in themselves, followed by their aptitude and talents (predisplicity), grades (passability), surrounding solicitations (parents, relatives, friends, teachers, etc.), ease of employment, social status and awareness, difficulty in studying majors, future of majors, and popularity of majo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new stud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searched for care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ass participation. Thir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ew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ew students, an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as well as to improve student retention and employment rat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에 관한 연구
- 숲 그림책에 나타난 생태계서비스와 인간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감정어휘의 탐색
-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그림책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가 바라본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원인에 관한 연구
- 백희나의 「나는 개다」에 나타난 개의 정체성
- 국내 글자그림책의 특성 분석
- 그림책에 묘사된 또래괴롭힘 내용분석 : 1990년부터 2020년까지
-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동기 및 읽기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수상 그림책의 세계관 분석
-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 COVID-19에 대한 유아의 이해와 정서
-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