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Process of Children Becoming refugees and the life of refugee children after Evacuation in Picture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최예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25~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도 지구촌 곳곳에서 전쟁, 내전, 극심한 가난 등으로 인해 출생 국가를 떠나 이동하는 난민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그림책에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민 아동이 등장한 13권 그림책을 선정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은 난민이 되는 과정에서 강제 이주와 엑소더스(난민 대이동)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림책에서 난민 아동들은 어느날 갑자기 떠날 수 밖에 없는 상황 즉 전쟁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강제 이주를 하게 되었다. 엑소더스 과정에서 난민 아동은 이동을 위한 짐 꾸리기를 했고, 광야와 바다로 이동을 하였다. 둘째, 피란 후 난민 아동은 중간 정착지인 난민 캠프의 삶과 정착지에서 ‘그들’과 ‘우리’의 삶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책에서 난민 캠프의 삶은 의식주 등이 부족한 결핍의 삶으로 묘사되었다. 한편 난민 캠프 안에서 또래와 놀며 배우며 함께 지내는 등 관계 맺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민 아동에게 정착지는 낯선 곳이며, 그들은 ‘난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주변의 편견 속에서 살아갔다. 하지만 난민 아동은 점차 정착지에서 동화되어 살아가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영문 초록

Throughout history, there have been refugees moving from their countries due to war, and extreme poverty all over the world.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ildren becoming refugees and the lives of refugee children after the evacua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 picturebooks in which refugee children appe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children experienced forced migration and exodu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refugee in the picturebooks. In the picturebooks, the children were forced to move because suddenly one day there was a situation such as a war. The refugee children packed up their bags for moving, and they moved to the wilderness and sea. Second, after the evacuation, the refugee children lived in a refugee camp which was an intermediate settlement with an unfamiliar life. In the picturebooks, life at the refugee camp was described as a life of deprivation, lacking food, clothing and a hom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refugee children formed relationships, such as playing and learning with their peers in refugee camps. For refugee children, the settlement was an unfamiliar place, and they were called "refugees" and had to lived with the prejudices of others. However, refugee children were gradually portrayed as assimilating and living in settlements, and the refugee children gradually assimilated to living in the settl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예린. (2022).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2), 25-47

MLA

최예린.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2(2022): 2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