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탐색
이용수 52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support in the operation of play-based childcar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진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229~26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 4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정으로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운영하게 된 영아반 교사들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A광역시 소재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4명의 영아반 보육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9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연구가 수행되었다. 8회의 교사협의회와 16회의 교사 심층면담, 16회의 연구 참여자 저널쓰기와 전화, SNS 등이 자료로 수집되었다.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영아반 교사들의 경험은 익숙함과 새로움의 갈등 경험하기/ 자율과 책임의 공존 경험하기/ 도전하는 재미 경험하기/ 놀이지원의 가치 경험하기로 나타났고, 경험의 의미로는 함께 궁금해 하기/ 함께 놀기/ 함께 성취감 느끼기/ 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영아반 교사들에게 교사의 역할의 자율성 강화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고, 교사의 놀이지원이 영아들의 놀이 안에서 의미 있는 과정이 되길 바라며 놀이지원의 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play support experience i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an infant class who started to operate a play-centered childcare course as a result of the revision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our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about 5 months from September 2021 to January 2022 by selecting four nursery teachers in an infant clas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8 teacher council meetings, 16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16 research participants journal writing, phone calls, and social media. In the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were found to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familiarity and novelty, experience the coexistence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experience the fun of a challenge, experience the value of play support, and wondered abou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ogether. It was found to be doing, playing together,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ogether and growing toge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t reduces the burden of strengthening the autonomy of the teacher's role for infant class teachers who practice the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and hopes that the teacher's play support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in children's play.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xplo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
Ⅳ.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에 관한 연구
- 숲 그림책에 나타난 생태계서비스와 인간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감정어휘의 탐색
-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그림책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가 바라본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원인에 관한 연구
- 백희나의 「나는 개다」에 나타난 개의 정체성
- 국내 글자그림책의 특성 분석
- 그림책에 묘사된 또래괴롭힘 내용분석 : 1990년부터 2020년까지
-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동기 및 읽기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Astrid Lindgren Memorial Award 수상 그림책의 세계관 분석
-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 COVID-19에 대한 유아의 이해와 정서
-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