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이용수  2

영문명
A Research on the Study of Picturebooks in the Visual Arts: 1986-2018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심향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2호, 157~1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의 그림언어의 예술성에 관심을 갖고 시각예술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그림책연구의 동향을 살피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그림책’을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들 중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서 발표된 그림책연구 논문 131편을 대상으로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학술논문들은 주제어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성격과 내용을 표현하고 있기에 주제어를 통해 시각예술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그림책 연구의 경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예술분야에서 그림책 연구는 2000년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양적 성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둘째, 131편의 연구물에서 522개의 주제어가 산출되었으며, ‘유아’, ‘어린이’, ‘아동’ 등 그림책은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한다는 인식이 엿보이는 주제어가 지배적이었다. 그리고 서사전달을 위한 화면구성을 중심주제로 연구되었던 2000년대 초기에 비해 중후반으로 넘어가며 그림 요소, 디자인 요소 등 시각적 표현 방식에서의 다양한 접근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그림책의 시각언어를 구성하는 ‘색’, ‘형태’, ‘프레임’ 등 그림 요소와 예술적 양식, 이미지의 조형성, 그리고 그림책의 디자인적 측면은 그림으로 서사를 이끌어가는 그림서사를 읽어내는데 중요한 접근 관점이었다. 예술작품으로서 그림책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연구자들에게도 시각적 예술표현방식으로 인식되며 예술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의 증가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영문 초록

As picturebooks are recognized as visual art, I investigated picturebooks in the visual art field. I was interested in the visual language of picturebooks and analyzed the keyword “picturebooks” in published studies. I searched for articles using the keyword “picturebooks” in the academic research database RISS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Of the 1,653 articles, 131 were studies on picturebooks in the field of arts. Articles express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study by presenting keywords, so I examined the trend of picturebook research in the field of visual art through the keywords. At this time, the six academic journals, which mainly feature picture book research in the art field, were “the Plastic Media”, “Korea Design Forum”, “Illustration Forum”,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Design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and “Communication Design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picturebook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began to show quantitative growth in 2000. Second, keywords that showed the perceptions of the picturebooks targeting young children were “infants” and “children”. However, in the mid to late 2000s, picturebooks began to study visual narrative such as visual and design elements. Third, painting elements, artistic styles, image formability, and design aspects of the picturebooks, which make up the visual language of the picturebooks, were becoming important subjects of the picturebook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시기별 그림책 연구를 살피다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향분. (2022).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2), 157-175

MLA

심향분. "시각예술분야 학술지에 실린 그림책 연구에 관한 탐구 : 1986-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2(2022): 157-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