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0세 영아들의 ‘자기 배려’를 통한 배움의 주체성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Learning Subjectivity of Infants Aged 0 Through Practices of ‘Care of the Self’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지연(Ji-Yeon Lee) 백지혜(Jee-Hea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2호, 133~16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다양한 권력관계의 양상과 저항의 실천을 Foucault의 ‘자기배려’의 관점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민간 어린이집 0세 반에 재원 중인 영아 5명과 담임교사 3명이며, 연구자는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안전, 돌봄, 규율과 관련된 담론적 권력을 통해 영아를 통치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영아들은 울기, 몸을 이용하기, 못 들은 척하기, 미소 짓기, 다른 권력자에게 찾아가기 등의 방식으로 저항하였다. 둘째, 영아 간 발달 차이는 또래 간 권력관계로 작용하였고, 영아들은 뺏기, 밀기, 쳐다보기, 상위 권력자 찾기 등의 방식으로 ‘자기배려’를 실천하였다. 셋째, 영아들은 어린이집에 배치된 사물의 권력에도 반복적인 시도, 던지기, 빨기 등의 행위를 통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영아의 일상 속에서 작동하는 권력과 저항의 역동성을 조명함으로써, 영아를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능동적인 주체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ous forms of power relations experienced by infants in daycare settings and the ways in which they practice ‘care of the self’ through resistance. The participants were five infants enrolled in the zero-year-old class at a private daycare center and three lea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governed infants through discursive power related to safety, caregiving, and discipline. In response, infants resisted using strategies such as crying, using their bodies, pretending not to hear, smiling, and seeking out alternative authority figures. Second, developmental differences among peers functioned as a form of power, and infants practiced care of the self through actions such as taking objects, pushing, staring, and seeking a higher authority. Third, infants also exhibited resistance to the power of objects arranged in the daycare environment by repeatedly attempting actions, throwing, and sucking.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ynamics of power and resistance in infants’ daily lives,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infants as active subjects rather than passive be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보육교사의 유보통합 기대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지식과 환경행동의 관계에서 환경태도, 환경감수성 및 환경행동의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교수역량 앱 활용이 창의적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0세 영아들의 ‘자기 배려’를 통한 배움의 주체성 탐구
- 아버지의 미디어 중재 유형과 유아 정서지능 간의 관계 및 영향
- 유아 토의 기반 활동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국가 간 동질적 영향: 한·중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