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이용수 158
- 영문명
-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Inven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가영(Gim Ga-yeong) 문성환(Moon Seong-hwa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351~3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메타인지 발달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과 그러한 차이를 보이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그룹을 발명교육센터에서 적어도 한 학기 이상 발명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소재 발명교육센터 초등학생 142명과 발명교육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 121명으로 나눠 메타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메타인지적 지식(선언적 지식, 조건적 지식)영역과 메타인지적 통제(계획, 모니터링, 평가)와 같이 총 2개의 영역과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메타인지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명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들의 메타인지가 5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발명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높게 나왔으며, 둘째, 발명교육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들의 경우 성별에 따라 메타인지 값이 큰 차이를 보인 반면, 발명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경우에는 성별 보다는 발명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 참여 동기에 따라 메타인지 값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메타인지 발달과 관련하여 발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its causes in the level of meta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experienced invention education or no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meta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groups: 1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vention education for at least one semester in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121 elementary students with no such experience.
Their metacognitive development was measured by a metacognitive testing tool whose items are categorized into five subcomponents, subsumed under two broader categories, namely knowledge of cognition (declarative knowledge, conditional knowledge) and regulation of cognition (planning, monitoring, evalu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acognition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was higher in all five subcomponents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hadn’t experienced invention education. Second, the metacognition level of those with no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varied according to gender, while the students with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 it showed varying levels of metacognition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invention education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course rather than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to suggest directions of invention education in relation to meta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요약,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