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678
- 영문명
- A Study of a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 for Computational Thinking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한선관(Han Sun-Gwa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169~1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효과적인 코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분석,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테스트의 디자인 사고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디자인 기반 코딩 교육 수업 모형을 구성하고 13차시 분량의 파이썬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교사 34명에게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의 타당성 검사와 함께 컴퓨팅 사고 이해, 코딩 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디자인기반 수업모형이 시연중심 수업모형보다 학습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컴퓨팅 사고의 인식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예비교사로서 현장의 소프트웨어교육의 인식 개선과 교수학습 능력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s include design thinking processes such as needs analysis, design, prototyping, and testing to solve a given problem. First, we construct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and developed 13 modules for a Python coding education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34 pre-service teachers for one semest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we conducted a validity test of the model, a test of computing thinking awareness, and a coding ability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design-based instructional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demonstration-based instructional model.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of teaching and learning ability.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의 적용 및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