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16
- 영문명
-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한성은(Han Seongeun) 이희연(Lee Heeyeo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329~3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Eyberg 아동행동검사를 통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으로 선별된 6학년 학생 3명이었고,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독립변인은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이고 종속변인은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이었다. 연구는 대상 학생별로 5회기의 기초선, 12회기의 중재, 3회기의 일반화, 3회기의 유지 단계에 걸쳐 실행되었다.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을 매 회기 수업시간 시작 후 10분 동안 녹화한 후, 녹화자료를 15초 간격(10초 관찰, 5초 기록)으로 분석하여 학생행동관찰기록표에 행동발생 빈도를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및 수업참여행동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three 6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y got scores over 127 in the Eyberg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over 11 in problematic behaviors. As an experimental design, we us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composed of 5 sessions of baseline, 12 sessions of intervention, 3 sessions of generalization, and 3 sessions of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We observed the participants’ behaviors for 10 minutes at the beginning of each class and analyzed the behaviors using 15 seconds time interval recording method (10 seconds observation and 5 seconds recording for each inter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de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increased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