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이용수 16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in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Two - Focusing on Nursery Child Care Initiative -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유소연(Yu So-Yeon) 이순복(Lee Soon-Bok)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205~2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P시에 위치한 7개의 어린이집 수업에 적용한 일일보육계획안이며,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계획안을 바탕으로 수학교육의 생활주제별 분포와 실내자유놀이 활동별 분포를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표준보육과정 일일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은 공간과 도형에 관심가지기와 구분하기의 영역이 가장 많이 분포가 나타났고, 단순한 규칙성에 관심가지기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활주제별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으로 ‘동물놀이해요’와 ‘알록달록 가을이에요’의 생활주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만 2세 표준보육과정 일일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 중 실내자유놀이영역에서는 감각·탐색 흥미 영역, 수학교육내용에서는 공간과 도형에 관심가지기의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세부내용으로 ‘주변사물의 모양에 관심을 가진다’에 집중적인 분포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s contents that involve life themes and activity types, provided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daily child care plans drawn up by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identify how such are being actually applied at day care centers. For a frequency-based analysis, daily education plans used for classes in seve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were collected., All the daily education plans were found to accord with the names and contents of daily activity by life theme in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tw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 in the daily child care plans wa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and classifying the twos,’ whereas ‘taking interest in simple rules’ was the least frequent. By life theme, ‘playing animals’ and ‘enjoying colorful autumn’ were the most frequent, whereas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and classifying the twos’ was the most frequent and ‘taking interest in simple rules’ was the least frequent. Second, the indoor free play activity with the greatest number of mathematics contents was ‘sense/exploration area of interest’. In add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was the most frequent, with the most frequent sub-topic being ‘taking interest in shape of objects around u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