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158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Brain Domain Preference Measurement Tool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하(Kim Joengha)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275~2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뇌 활용 선호도와 수학의 특징을 비교해 볼 때, 좌뇌형 특징과 수학 문제를 순차적으로 계산하거나, 분석적으로 증명과정을 기록 하는 등 일치하는 면이 있다. 우뇌형 특징과 수학의 공간과 기하에 대한 수학을 하기 위해 직관과 창의력이 필요한 것이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좌우뇌형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 수학교육이 많이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뇌 활용 선호도를 판별하기 위해 70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서 좌뇌형, 우뇌형, 적극적 양뇌형, 소극적 양뇌형, 일반적 양뇌형으로 보다 섬세한 판별을 내릴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뇌의 비대칭적 특성을 고려하여 뇌의 인지기능 및 구조에 최적화시킨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의 설계 및 학습의 효율성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및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commonalities between calculative features of left brain dominance and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sequence, or recording proof processes analytically. Typical features of right brain dominance are matched with the need for intuition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for space and geometry. Therefore, it seems that mathematics education can contribute a lot to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left and right brain dominance among different learners. In this study, we developed 70 items to discriminate the preference of brain application. From these results, it is aimed to establish a scale which can identify one as left brain type, right brain type, active brain type, passive brain type or general type brain type. Based on the asym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we can design efficient,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s optimized for the cognitive functions and neurological structures of learners. Such methods will be particularly helpful for improving their capacity of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뇌선호도 측정도구 개발 및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