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이용수 135
- 영문명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장희(Lee Jang-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143~1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군자와 소인이이라는 한 쌍의 인물형은 유학의 역사에서 인물을 품평하는 데서만 아니라 스스로의 수양이 나아가야할 방향에서도 시금석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 왔다. 유학의 가장 핵심적 성격 중 하나를 완성된 인격을 향한 수양 또는 공부라고 한다면 군자와 소인이라는 인물형은 유학을 자신의 삶의 지표로 삼는 개인에게 나아가거나 피해야야 할 방향을 가장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군자/소인의 선명한 대비가 흔히 공자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지만, 이러한 군자/소인이란 대비적 인물형의 성격이 선진유학사에서 어떻게 확립되어 갔는지에 대한 논의는 빈약하다. 대체로 공자에서 등장하는 군자와 소인 개념을 분석하거나, 맹자에서 군자 대신에 대인(大人)이란 인물형이 소인과 대비적으로 더 부각된다는 지적 등에 머물고 있으며, 순자에서의 군자와 소인 개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 글은 이런 현황을 감안하여 순자를 중심으로 논어, 맹자, 순자에 이르는 선진유학사의 전개에서 군자, 소인이란 용어의 용례가 어떤 식으로 확립되어 갔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특히, 순자의 군자, 소인 개념이 공자나 맹자와의 개념과 어떤 차별성을 가지는지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영문 초록
Gentleman (君子junzi) and petty man (小人xiaoren) are two poles of personhood that were most prominent in the long history of Confucianism, ever since Confucius ascribed to the gentleman morally admirable qualities that people should strive to obtain. Whereas the petty man is seen to be the opposite of the gentleman that every Confucian should despise and does his best efforts to avoid to develop, the gentleman has become the model personhood for every Confucian and the goal for cultivation in the long history of East Asian Confucianism. Even though Confucian ideal personhood or the ultimate goal for cultivation is said to be a sage, no Confucian, even Confucius, dares to claim that he has achieved the sagehood. On the contrary, the gentleman is regarded as a realistic ideal that an authentic Confucian can achieve and should embody. Given the recent discussion of Confucian ethics as one version of virtue ethics, it seems all the more important to explore the gentleman and the petty man as the pair of Confucian ideal personhood and its antihero. In this paper, I’d like to trace the early evolution of the concepts of gentleman and petty ma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Analects, the Mencius and the Xunzi. In particular, Xunzi’s notions of gentleman and petty man are given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t seems that this examination of the evolution of the notions of gentleman and petty man as well as the comparison among them can provide some interesting insights into both the early form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nature of Confucianism as a virtue ethic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Analects
Ⅲ. The Mencius
Ⅳ. The Xunzi
Ⅴ. Concluding Remark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Auditory Training for Tinnitus Relief: A Scoping Review of Training Effectivenes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