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이용수 227
- 영문명
- Narratives of a Teacher Educator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a Swimming Clas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제행(Je-Hae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251~2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경험을 토대로 초등체육 현장에서 수영교육의 적용을 탐색하고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2017년 2학기 동안 진행된 수영수업을 통해 교사교육자는 예비초등교사들의 수영수업에 참여관찰하고, 보고서와 4차에 걸쳐 서술적 설문, 연구참여자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Spradley의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교수의 수영수업은 획기적인 수영수업, 영상-설명-시범-지도 과정이 있는 수영수업, 기본을 가르치는 수영수업, 학습자와 지도자로서 역량을 기르는 수영수업, 틀을 깨는 수영수업, 기억에 남는 수영수업과 같이 6가지의 의미 있는 이야기로 전개되었다. 예비초등교사들은 수영수업을 자신들의 수영 수준에 따라 다르게 이해했다. 수영 경험이 없거나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생존수영, 경험, 전문 강사와의 협업, 제도적 지원에 대해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는 반면, 수영 경험이 있거나 수영을 잘하는 학생은 영법수영, 전문성, 교사 직접 지도, 교사 열정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교육을 위한 수영교육, 수영장을 갖춘 수영교육, 그리고 교사가 책무성을 갖는 수영교육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a teacher educator. At a swimming class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teacher educator observed the particip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completed an interview, a report, and four sessions of descriptiv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radley’s method to construct narr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six narratives: innovative swimming classes, swimming lessons with video・explanation・demonstration・guidance courses, swimming lessons to teach the basics, swimming lessons to enhance competence as a learner and leader, out-of-box swimming lessons, and memorable swimming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created different narratives according to their swimming level. Those who had not had swimming experience or did not swim well talked about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d had swimming experience or were good at swimming shared emotional sense of swimming, professionalism, direct teacher guidance, and teacher enthusiasm. Finally, both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m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for swimming lessons in teacher education, swimming lessons with a swimming pool, and swimming lessons with teacher responsi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수영수업을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